• 온바오 2024-03-29
  • 언어선택
조성환 생가
+
1234
    현지어
  • 조성환 생가
    분류
  • 여행/오락 > 역사유적
    주소
  • 경기 여주군 대신면 보통리 190-2
  • 거리 [서울](로/으로)부터 56.7km
"단결은 약자의 무기다’라는 말은 자명의 진리인 것이다. 그 단결의 길은 일시적 권모술수에 있는 것이 아니고 단지 정대한 정의와 광명뇌락의 정신을 근거로 한 당적결합에 있는 것으로 믿는다."

위 글은 조성환 선생인 1926년 북경에서 발표한 「대독립당조직북경촉성회 선언문」의 일부이다. 그는 대한제국의 군인 출신으로 일제의 침략이 본격적으로 전개되던 1907년 신민회를 조직하여 항일 구국운동에 투신, 중국으로 망명하여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국무위원, 군무부장 등을 역임하는 등 해외독립운동에 평생을 바쳤다.

1905년 을사늑약을 강제로 체결하여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박탈한 일제는 1907년 대한제국의 군대마저 해산시키며 한반도를 식민지로 만들기 위한 본격적인 작업에 들어간다. 이에 저항하여 의병운동이 거세게 일어났다. 특히 1907년 군대 해산 이후 해산된 군인들이 의병 활동에 가담함으로써 일제에 저항하는 의병투쟁이 전국적인 규모로 조직적으로 전개되었다.

그러나 일제는 남한대토벌 작전 등을 펼쳐 항일 의병을 잔혹하게 진압하였다. 결국 국내에서의 의병 활동이 일제의 탄압으로 어려움에 빠지자, 항일 의병은 국외로 이주하여 일제를 몰아내는 독립운동 기지를 건설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났다. 국외 독립운동 기지 건설을 주도한 단체가 신민회이다.

신민회는 나라의 힘을 기르기 위한 교육운동과 식산흥업 정책뿐만 아니라 해외 독립운동 기지 건설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한 비밀 결사였다. 신민회의 활동이 본격화하자 일제는 한국을 강제로 병합한 이후 총독을 암살하려했다는 이른바 ‘105인 사건’을 조작하여 신민회의 주요 인사들을 감옥에 가두고 모진 고문을 가했다. 결국 신민회는 해체되고 말았다. 그러나 우리 민족은 이에 굴하지 않고 해외에서 본격적인 독립운동을 준비하였다.

1910년 일제가 대한제국을 강제로 합병하고 무단통치로 우리 민족의 손과 발을 꽁꽁 묶기 전부터 한반도를 떠나 중국으로 망명하여 독립운동 기지를 건설하는 노력이 꾸준히 이어졌다.

1919년 일제의 가혹한 식민지배에 맞서 전국적인 만세시위운동이 벌어졌다. 전국이 모든 국민이 참여한 거족적인 독립운동인 3·1운동으로 우리 민족은 독립에 대한 자긍심을 갖게 되었다.

3·1운동 이후 국내외 항일독립운동세력은 일제와 본격적으로 싸우기 위해서는 통일된 독립운동 단체가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이에 따라 해외와 국내 독립운동 단체 들이 모두 참여하여 상해에 세운 조직이 바로 대한민국 임시정부이다. 초기 임시정부는 내무총장 안창호의 주도로 연통제(국내의 비밀행정조직망)와 교통국(임시정부 통신 기관)을 조직하는 한편 독립신문을 발행하였으며, 각종 외교 선전활동 등을 전개하였다. 또한, 애국공채 발행과 국민 의연금을 통해 독립운동에 필요한 자금을 마련하였다. 그러나 이승만과 안창호가 독립운동을 어떤 방식으로 할 것인가를 두고 대립하였으며, 이념적으로도 국무총리인 이동휘는 사회주의 혁명을 부르짖었고 대통령 이승만은 미국식 자유민주주의를 주장하여 서로 충돌하였다.

1921년 이후 임시정부는 연통제, 교통국과 같은 국내 비밀행정조직망의 파괴와 외교 선전활동의 무성과, 심각한 재정난 등으로 오랜 침체기를 겪었다. 인원도 줄어들어 초창기에 천여 명에 달하던 독립 운동가들이 수십 명으로 감소하였다. 조선 총독부는 밀정을 파견하여 임정 요인에 대한 체포, 납치, 암살 공작을 단행하였고, 김희선, 이광수, 정인과 같은 자들은 친일파로 변절하였다. 1927년 국무령에 선출된 김구는 국무령제를 집단지도체제인 국무위원제로 개편하였다.

1931년 김구는 보다 직접적인 항일투쟁을 추진하기 위하여 한인 애국단을 결성하고 이봉창 의사와 윤봉길 의사의 의거를 실행하였다. 이봉창과 윤봉길 의거의 주모자로 수배된 김구는 상하이를 떠나서 숨어 지내야 했으나 남경으로 옮긴 국민당 정부는 이를 계기로 김구와 임시정부를 적극 지원하게 되었다.

1934년 양기탁(주석)·송병조(재무)·조소앙(내무)·김규식(외무)·윤기섭(군무)·최동오(법무)·김철(무임소)·조성환(무임소)·성주식(무임소) 등 9명이 국무위원으로 당선되었다. 1940년 임시정부는 국무위원제를 주석제로 개편한 뒤 한국독립당의 김구를 주석으로 추대하였다. 1942년 조선 민족혁명당이 임시정부에 합류하게 되면서 김규식이 부주석에, 김원봉이 군무부장 겸 한국광복군 부사령에 선임되었다.

1940년 충칭에 자리 잡은 임시정부는 국민당 정부의 도움을 받아 한국광복군 총사령부를 창설하고, 태평양전쟁이 발발한 1941년 연합군에 가담하여 일본에 선전포고하였다. 또한 연합군의 일원으로 비밀리에 국내에 침투하여 공동작전을 펴기로 계획하였지만 한국광복군이 국내로 들어가기 직전에 일본의 항복으로 해방을 맞이하게 되었다.
주변뉴스
< 1/2 >
주변포토
< 1/2 >
동종 정보 [내위치에서 56.7km]
실시간 관심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