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서 밀수입한 휴대전화는 중국 접경지역과 멀지 않은 곳에 있는 북한 주민에게 있어 외부세계와 연락할 수 있는 유일한 통로이다”

뉴욕타임스(NYT) 중문판이 탈북자 주찬양 씨의 사례를 들어 이같이 전했다.

주찬양 씨의 경우, 지난 2009년 부친이 고용한 브로커가 청진시에 있던 그녀를 찾아왔다. 남자는 인근 야산으로 그녀를 데리고 가 주위에 인적이 없다는 것을 확인한 후, 자신이 가지고 있던 휴대전화로 부친과 연락을 시켜줬다.

주 씨는 “부친이 탈북한 지 2년만에 처음으로 연락이 닿았다”며 “당시 10분밖에 통화하지 못했고 갑자기 연락이 끊기자 부친은 내가 군인에게 잡힌 것일까 봐 잠을 이루지 못하셨다”고 당시를 떠올렸다.

NYT는 “주 씨의 사례처럼 중국에서 밀수입된 휴대전화는 갈수록 북한과 외부세계와의 중요한 연락통로가 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 탈북자 최현준 씨가 서울 거리에서 휴대전화를 사용하고 있다. 최 씨는 "중국에서 들여온 휴대전화로 딸의 탈북을 도울 수 있었다"고 말했다.
북한 주민들은 지난 1990년대부터 중국에서 몰래 휴대전화를 들여오기 시작했다. 이는 중국으로부터 음식과 상품을 몰래 들여오는데 도움을 받기 위해서였다. 이어 한국으로 탈북한 탈북자들은 북한에 남겨둔 친지들과 연락하기 위해 중국산 휴대전화와 심카드를 보내려 브로커를 고용해 이들에게 제공하기 시작했다.

NYT는 “이같이 북한 내 중국 밀수 휴대폰이 급증하고 있지만 상황은 녹록치 않다”고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김정은 체제 들어 북한 정부는 중국으로부터의 휴대전화 밀수입 감독관리를 강화해 현대화 감시설비를 설치하고 휴대전화 신호를 차단하고 있다. 이는 휴대전화가 북한 주민들에게 바깥소식을 알릴 뿐 아니라 북한 소식을 한국 언론이나 활동가 등 외부에 알리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또한 인권단체 국제엠네스티의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휴대전화를 밀수했다 적발된 주민들에게는 그에 따른 형사처벌이 뒤따르고 있다.

한편 북한에서는 지난 2008년 이집트 통신사 오라스콤(Orascom)과의 합작회사인 고려링크(Koryolink)를 설립했다. 이후 가입자는 300만명을 넘지만 북한 국내에서만 통신 네트워크를 제공했고 국제전화는 금지됐다. 인터넷 역시 해외 관광객에게만 제공됐을 뿐, 북한 주민은 이를 사용할 수 없다. [온바오 한태민]
관련뉴스/포토 (12)
#태그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