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 외교 소식통 밝혀]







'지방 정부가 지원 주도' 등 對北 3가지 방침 정해



전문가들 "北·中 정상회담 가능성 시사한 것은 韓·美 동시견제 의도인 듯"












[조선일보] 중국 시진핑(習近平) 지도부가 북·중 관계와 관련해 '관계개선(關係改善)' '원조재개(援助重啓)' '지방위주(地方爲主)' 등 3가지 방침을 세운 것으로 9일 알려졌다.







베이징 외교 소식통은 이날 "중국이 작년 말부터 북·중 관계에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며 "얼어붙은 양국 관계를 푸는 방법으로 중단했던 원조를 재개하되, 중앙 정부보다 북한과 국경을 맞댄 지방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는 모양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제3국 소식통도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5월 모스크바나 9월 베이징에서 열리는 '2차 대전 승전 70주년' 행사에 참석해 시진핑 국가주석을 만날 가능성이 있는 상황에서 중국은 북한과 어느 정도 관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현재 북·중은 작년 2월 중국 외교부 류전민 부부장이 방북한 이후 1년 넘게 차관급 이상 고위급 교류가 중단된 상태다.
























▲ 북한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가 자신의 전용기를 타고 1016 공군부대를 시찰했다고 노동신문이 9일 보도했다. 사진은 김정은이 전용기에서 내려 경례를 받고 있는 모습.








중국은 작년 말부터 북한에 해빙(解氷) 신호를 보내고 있다. 작년 12월 김정일 사망 3주기 때 공산당 서열 5위인 류윈산(劉雲山) 정치국 상무위원을 베이징의 북한 대사관에 보내 조문한 데 이어, 지난 1월에는 김정은 생일을 맞아 축전(祝電)을 보냈다. 왕이 중국 외교부장이 8일 기자회견에서 올해 북·중 정상회담 가능성을 시사하는 발언을 한 것도 이런 맥락에서다.







그러나 중국은 북한 비핵화에 대한 시진핑 주석의 입장이 확고하기 때문에 과거처럼 중앙 정부가 직접 나서 대북 협력 사업 등을 진행하기는 쉽지가 않다. 이 때문에 북·중 접경인 지린성과 랴오닝성 등을 내세워 북한과 접촉면을 넓히면서 관계를 풀어보겠다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 지린성과 랴오닝성은 최근 대북 관광 확대 계획을 밝혔다.







한편 중국이 북한과의 정상회담 가능성을 시사한 것은 미국과 러시아는 물론, 한국까지 견제하기 위한 다목적 카드라는 분석이 나온다. 김한권 아산정책연구원 중국센터장은 "한국이 아시아인프라개발은행(AIIB)에 참여해달라는 중국의 요구에 미국이 주도하는 TPP(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를 고려해 미온적으로 반응하고 있고 최근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 방어체계) 배치 문제까지 불거지면서 미국과 한국을 동시에 견제하기 위한 의도가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남성욱 고려대 교수는 "중국이 한국에 공을 들여봤자 사드 배치를 막을 수 없고 최근 리퍼트 대사 사건을 보면서 한·미동맹을 약화시킬 수도 없다는 것을 느꼈을 것"이라며 "결국 북한을 끌어안아야 한반도에서 영향력을 강화할 수 있다는 판단을 했을 수 있다"고 말했다.







중국 입장에서는 장성택 처형 이후 북한이 급속도로 러시아와 가까워지는 모습도 그냥 두고 보기는 어려웠을 것이란 분석이다. 북한 입장에서도 우크라이나 사태와 유가 하락 등으로 경제난을 겪고 있는 러시아는 기댈 만한 여력이 크지 않기 때문에 결국 중국의 지원을 기대할 수밖에 없다. 일부에서는 김정은이 5월 러시아 전승절 행사에 참석하기 전 4월쯤 중국을 먼저 방문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고위 외교 소식통은 "중국이 관계 개선 신호를 보내고 있지만, 오히려 북한이 강경한 태도인 것으로 안다"며 "중국은 '핵 문제는 건드리지 말라'는 북한 요구를 그대로 받아들이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뉴스/포토 (12)
#태그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