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내년에 금융위기를 겪을 수 있다는 예측이 제기됐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9일 일본 노무라증권의 보고서를 인용해 "규제에도 불구하고 치솟는 부동산 가격, 이에 따른 레버리지(leverage·자본금 대비 부채비율)의 급격한 상승, 잠재적인 경제성장률 하락 등 현 중국의 상황이 2008년 금융위기 직전의 미국과 꼭 닮았다"며 "중국 정부가 느슨한 통화정책을 이어가면 내년쯤 금융위기를 맞을 수 있다"고 보도했다.



중국 국가통계국이 최근 발표한 '2월 중국 70개 주요 도시 주택판매가 변동 현황'에 따르면 전달보다 집값이 오른 도시는 66곳으로 1월의 53곳보다 13곳이 늘었다. 특히 베이징, 광저우(广州) 등 대도시의 신규주택 가격은 한달새 3.1%나 올랐다.



또한 중국 정부는 2004년부터 지난해까지 집값이 113% 상승했다고 발표했지만, 칭화(清华)대학과 싱가포르국립대학의 공동 연구에 따르면 정부가 통계에 집어넣은 일부 노후주택들을 제외하면 2004~2009년 사이 집값은 250%나 올랐다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현재 중국의 집값 상승폭은 2001~2006년 미국 집값이 매년 평균 84% 가량 급등한 것을 연상케 한다"며 "2008년 미국 금융위기의 도화선은 바로 이같은 부동산 거품이었으며 통계상으로 봐도 중국의 집값 상승폭은 미국보다 심한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레버리지 비율도 사상 최고치까지 치솟았다. 중국 정부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GDP 대비 레버리지 비율은 155%로 2008년 레버리지 비율인 121%에서 34% 늘어 1978년 이후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미국에 금융위기가 닥치기 전 레버리지 비율 상승폭이 30%였다.



보고서는 "부동산 거품이 꺼지기 시작하면 토지 매각이 주수입원인 지방정부가 가장 먼저 타격을 받을 것”이라며 "중국 은행의 전체 대출 중 14.1%를 차지고 있는 지방정부가 무너지면 전체 금융시스템이 타격을 입는다"고 분석했다.



중국의 잠재성장률이 떨어지고 있는 것도 위험 요소이다. 지난해 중국의 GDP 성장률은 7.8%로 근 13년간 가장 낮았으며 올해 중국이 목표로 하는 GDP 성장률은 7.5%이다.



보고서는 "중국이 올해에도 통화완화 정책을 이어간다면 내년에 금융위기를 맞을 수 있다"며 "중국 정부가 지금이라도 높은 경제성장률을 포기하고 더 적극적으로 주택 가격 억제에 나서면 구조적인 금융위기를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온바오 한태민]

관련뉴스/포토 (12)
#태그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