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 인프라 투자 등으로 대규모 경기부양책을 펴온 중국이 금융위기에 처할 가능성이 높다는 주장이 잇따라 제기됐다.



월스트리트저널(WSJ) 중문판의 보도에 따르면 일부 경제계 인사들이 과거 미국과 일본이 경기부양을 위해 막대한 재정을 투입한 뒤 금융 위기에 직면했던 것처럼 중국 경제가 엄청난 후폭풍을 몰고 올 금융위기가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중국의 지난 1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7.7%를 기록했으며 금융시스템 내 악성부채 역시 1%에 불과해 미국의 3.4%나 이보다 막대한 규모의 유럽에 비해 양호한 수준이다.



하지만 실상은 금융위기가 터지기 직전 미국과 같은 상황이다. 뱅크오브아메리카-메릴린치의 중국담당 전략가인 데이비드 추는 "중국이 지난 2008년 베어스턴스가 파산할 당시의 미국과 같은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베어스턴스(Bear Stearns)는 월가의 5대 투자은행 중 하나로 튼튼한 재무구조를 자랑한 우량 은행이었다. 하지만 2007년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신용위기로 인한 유동성 악화로 자금난을 겪게 되고 결국 시장의 신용을 잃어 파산위기에 이르자, JP 모건체이스가 2008년 3월 은행재벌과 사업가를 끌어들여 부실 채권을 헐값으로 인수했다.



추 전략가는 "베어스턴스가 파산하고 6개월 후 리만브러더스가 파산한 것과 같은 사건이 중국에서도 일어날 수 있다"며 "베이징의 주요 기업 중 일부가 그렇게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UBS의 에코 조지 마그너스 이코노미스트 역시 "중국의 재정상황이 상당히 위험한 수준"이라며 "주택건설과 인프라투자, 공장건설 등에 과도한 부채를 사용한 결과 재정에 균열이 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내년이나 내후년 쯤에 큰 문제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 예측했다.



피치(Fitch)의 분석에서도 금융위기의 전조가 보이고 있다. 분석에 따르면 지난 1분기 중앙정부 부채를 제외한 기업과 지방정부, 가계의 부채를 합산한 중국의 총부채 규모는 GDP 대비 210%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 2007년 기록한 130%에 비해 크게 증가한 수준이다.



일본과 미국 역시 과거 이 수치가 200% 수준을 기록할 당시 심각한 신용버블로 인한 위기를 겪은 바 있다.



중국 국무원 참사실 참사이자 경제전문가인 탕민(汤敏)도 지난 23일 광저우(广州)에서 열린 국제금융교역박람회 포럼에서 "지방정부 부채, 부동산 거품, 그림자 금융(새도우 뱅킹) 등으로 인해 중국에서 금융위험이 커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탕 참사는 "최근 2년 동안 지방정부 부채가 끊임없이 증가했다"며 "이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금융 영역에 충격을 몰고 올 수 있다는 점에서 높은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글로벌 경제 상황을 볼 때 부동산 거품이 경제 안정을 해치는 최대 요인이 될 수 있다"며 "중국의 부동산시장에서도 거품이 형성되고 있으며 그림자 금융 문제도 점차 뚜렷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온바오 한태민]

관련뉴스/포토 (12)
#태그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