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드레이 란코프 국민대 교수



(레닌그라드대 한국사 박사, 김일성종합대·레닌그라드 동양학부 졸업)







* ‘아시아엔’ 해외 필진 기고문 한글요약본과 원문을 게재합니다.



















▲ 안드레이 란코프 국민대 교수

북한은 지난 두 달 간 남한과의 관개개선을 위한 유화책을 내놓았다. 이는 민족화해 같은 고상한 이념보다 국제사회 원조가 늘어나길 원하기 때문에 생긴 변화다. 남한정부는 1998~2008년 햇볕정책을 펼쳤다. 수십억 달러에 이르는 돈이 유입됐지만 북한은 여전히 불안정하고 기근이 끊이지 않았다. 햇볕정책은 2008년 우익세력이 집권하자 중단됐다. 비슷한 시기 핵실험과 미사일 발사로 인해 미국도 북한에 대한 거의 모든 지원을 끊었다. 








이후 북한의 중국 의존도는 더욱 심화됐다. 중국은 현재 북한의 교역 80%를 차지할 정도다. 남북 경협이 그렇듯 북-중 경제협력도 정치적 고려의 산물이다. 중국은 정치적 목적을 위해 북한에 막대한 자금을 지불한다. 북한도 상대적으로 관대하고 큰 제약조건을 달지 않는 중국을 원할지 모른다.








그러나 북한이 중국을 무조건 신뢰하는 것은 아니다. 중국은 분단된 한반도를 원하지만 이는 북한 내정간섭을 초래한다. 선례가 있다. 평양 주재 중국 대사관은 1956년 김일성에 도전하는 세력을 지지했고, 여의치 않자 이들 관료들을 망명시켰다. 북한의 중국 불신은 1960대 이후 지속돼온 대외정책 기조에 근거를 둔 것이다. 북한은 항상 경쟁관계에 있는 두 후원자를 물색했다. 북한은 후원자들 사이 불협화음을 이용했다. 북한이 중국에만 의존하는 현 상황에 불안감을 느끼는 이유다.








중국을 대체할 후원자는 많지 않다. 미국, 일본, 러시아, 남한 정도다. 이 중 남한만이 북한에 막대한 돈과 인도적 지원, 산업장비를 투자할 의향이 있다. 따라서 북한은 남한과의 관계를 개선시킬 필요가 있다. 지난 2월 이산가족 상봉이 부드럽게 진행됐고 인도적 측면이 부각됐다. 그럼에도 남한정부가 북한의 태도를 신뢰하고 유화 제스처를 계속 받아들일지는 의문이다. 얼마간 이상징후가 나타나지 않으면 2008년 중단된 금강산 관광이 재개될지 모른다. 다음 단계는 경제협력이다. 남북 경협은 양측간 무력충돌 가능성을 줄여준다. 유화 제스처는 북한 지도부의 이기적 의도에서 나왔지만 남북 주민 모두에게 이익이 될 수 있다.













본 기사는 아시아엔과 온바오닷컴의 상호 콘텐츠 제휴협약에 의거해 보도된 뉴스입니다. 본 기사의 저작권은 아시아엔에 있으며 재배포를 허락하지 않습니다.




관련뉴스/포토 (6)
#태그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