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온바오 2024-05-10
  • 언어선택

















[환구시보 1월 25일 사설]


"'문화대혁명' 종결 40년, 발동 50년의 짧고 조잡한 식견"



2016년은 대중들이 추억을 
많이 떠올리는 한해가 될 것이다. 마오쩌둥(毛泽东), 저우언라이(周恩来), 주더(朱德)가 세상을 떠난지 40주년이자 탕산(唐山)대지진 40주년이기도 하며 '4인방'을 분쇄하고 문화대혁명을 종결시킨지 40주년이기도 하다. 동시에 없었어야 할 '문화대혁명'이 일어난 지도 50주년이 된다.



관련 추억들이 물밀듯이 갑지기 떠오를 것이다. 이미 시간이 많이 흘러 이들 대부분은 매우 차분하게 떠오를 것이며 일부 추억은 사람들을 흥분시킬 것이다. 하지만 파문을 일으키진 않을 것이다.  



일각에서는 문화대혁명을 둘러싼 논쟁을 다시 하기 시작했다. 이 중 일부는 추억과 관념을 넘어서 여론 확대를 시도하고 있다. 이같은 주장 중에는 "중국 사회가 올해 문화대혁명을 철저히 반성하고 중국 관련부문이 문화대혁명의 오류를 언급하지 않고 회피하려는 현 정세를 타파해 사전에 문화대혁명의 재연을 방지하자"며 일정한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내용도 있다.



이와는 반대로 "문화대혁명을 다시 평가하자", "문화대혁명이 지나치게 추악하게 묘사됐다"며 "당시의 위성 발사 성공, 수소폭탄 등의 성과를 문화대혁명과 함께 기록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있다.



이같은 특수한 연령대에 살았던 사람들은 '문화대혁명'이 정상적인 사건이었는지에 대해 많이 논의했다. 중국 사회에 "문화대혁명을 철저히 반성해야 한다"는 분위기가 대대적으로 조성됐다. 중국의 이데올로기 형성 과정에서 돌발적으로 발생한 '문화대혁명'을 국가의 흥망으로까지 연결시키는 과장된 행위는 있어서는 안 된다. 



중국 사회는 1970년대 말부터 80년대 초까지 '문화대혁명'에 대해서 구조부터 사상에 이르기까지 전체적으로 철저한 청산을 거쳤다. 린뱌오(林彪) 및 장칭(江青) 그룹의 주요 구성원에 대한 공개재판은 이같은 청산의 최고조였다. 당의 문건이든 당시 대중들의 인식을 대표하는 문예작품이든 모두 이미 '문화대혁명'에 대해 철저히 부정했다. '문화대혁명'이라는 단어는 근본적으로 강력한 부정적 의미를 담고 있으며 당시 운동의 정체성은 몇세대를 거쳐도 뒤집을 수 없게 됐다.



더 중요한 것은 중국의 개혁개방은 '문화대혁명'에 대한 사회 실천적 차원에서의 본질적 부정을 만들어냈다는 것이다. 이는 국가가 역사적으로 '문화대혁명'의 정체성을 서술하는데 있어 가치관의 초월을 실증한 기반이 됐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가치관을 정하는데 있어 각기 취약한 부분이 있고 개혁개방과 문화대혁명 사이의 상대적 차이는 언제가 되더라도 바꿀 수 없다.



당연히 '문화대혁명' 중 일부 돌발적 행위는 후세에도 없었던 일로 할 수는 없다.



'문화대혁명의 잔재'로 불리는 것들도 현 사회 생활 가운데 일부 찾을 수 있다. 실례로 '문화대혁명' 중 유행했던 투쟁, 누명씌우기, (인물·사건에) 꼬리표 붙이기, 비호감이면 나쁘다고 선동하기, 나쁜 것이 아니면 좋은 것, 이것이 아니면 저것, 좌파가 아니면 우파인 극단적 논리 등이다. 이같은 모든 것들이 오늘날의 여론에서 여전히 쉽게 볼 수 있는 '상습적 병폐'이다.



하지만 이같은 문화대혁명의 잔재는 서방의 정당 투쟁에서도 흔히 있는 일이다. 이는 우리로 하여금 아마도 정치 및 이데올로기 투쟁이 극대화됐을 때 항상 나타나는 현상이라 여기게끔 만든다. 서방의 일부 정치인들이 중국을 격렬히 공격하고 중국에 뭔가를 덮어씌우는 것을 보면 그들이야말로 마치 '문화대혁명' 당시의 홍위병과 매우 닮았다.



사회적 난제는 인내심이 더해져야만 해결된다. 격렬한 정치운동으로는 사회적 난제를 해결할 수 없으며 세상의 모든 불합리한 일에 대해 분개하고 증오하는 여론의 목소리 역시 이를 돕지 못한다. 이는 '문화대혁명'이 중국 사회에 남긴 주요 교훈 중 하나이다.



'문화대혁명' 이후의 중국은 법치건설을 위한 긴긴 여정에 올랐다. 사회의 전면적 개방을 향해 나아가며 국가의 발전과 민권을 점진적으로 만들기 위한 새로운 출발선에 섰다. 중국의 전체 사회는 '문화대혁명'이 경고한 것을 이미 제도화하고 새로워진 사회 현실을 끊임없이 공고히 하고 있다.



"국가적 차원에서 문화대혁명을 철저히 반성해야 한다"고 요구하는 사람들 중 일부는 '문화대혁명' 중 직접적 피해를 입거나 자신의 과오를 뉘우친 사람도 있다. 하지만 일부는 '반면교사'라는 명목으로 문화대혁명에 대한 책임 추궁을 선동해 사람들이 집정당(공산당)에 대해 불만을 가지게 하고 '반성'을 현행 정치체제에 대한 사상적 공격으로 이용하려고 한다.



"문화대혁명에 대한 평가를 다시 해야 한다"는 사람도 두 부류로 나뉜다. 일부는 문제를 인식했지만 다른 일부도 '문화대혁명 반성파'와 마찬가지로 현행 정치체제를 공격하고 당의 개혁개방 노선을 부정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주의해야 할 점은 이들 두 논쟁세력이 서로를 공격해 상대방과 자신을 점차 극단적으로 몰아가고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들 모두 중국 주류사회의 인식을 대변하는 것은 아니며 중국 사회의 '문화대혁명'에 대한 전체적 평가는 상당히 안정적이다. 이같은 안정은 현시대의 사람들에게 있어서도 '문화대혁명'에 대한 기억이 이전보다 더욱 긍정적일 것이며 이를 뒤집을 새로운 결론이 나타날 가능성은 전혀 없다. [번역 온바오]

관련뉴스/포토 (12)
#태그
댓글 0